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Java
- 메서드
- 내일배움캠프
- 인스턴스
- Github_token
- 회고록
- static
- #내일배움캠프
- TiL_1st_0419
- 포맷은 최후의 보루
- #스파르타내일배움캠프
- Token
- 스파르타내일배움캠프TIL
- diary
- #스파르타내일배움캠프TIL
- 성장기록
- 스파르타내일배움캠프
- 해우소
- Diary 해우소
- GitHub
- 변수의 다양성
- 감사기록
- KPT
- 스레드
- Java의 이점
- 생성자
- 클래스
- JVM
- Git
- 객체지향 언어
Archives
- Today
- Total
몬그로이
첫 Project에 대한 KPT + TIL_001 본문
1. Keep (유지할 점, 좋았던 점)
1. 적극적인 의견 교류를 통한 팀 소통 유지
2. 와이어프레임에 따른 개발 접근 방식 유지
3. 각 기능별 오류 검증 및 단위/통합 테스트의 철저한 진행
4. 명확하고 강렬한 프로젝트 컨셉 설정 유지
2. Problem (문제점, 해결 방향성)
1. 개인 및 팀 소개의 디자인과 내용이 부각되지 않음: HTML/CSS를 활용한 디자인 강화 예정
2.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가독성 문제: CSS와 폰트 최적화를 통해 개선
3. GitHub 협업 중 발생한 충돌과 오류: Git 워크플로우 교육 및 정기적인 코드 리뷰 세션 예정
4. 기능 설계에 대한 불충분한 문서화: 와이어프레임 및 기술 문서의 세밀한 작성
5. 코드 중복과 불분명한 로직: 코드 리팩토링과 모듈화를 통한 개선
3. Try (시도할 점)
기능적 부분
1. 로그인 기능을 통한 수정/삭제 권한 부여 및 접근 제어
2. 방명록 및 댓글 기능 추가로 사용자 상호작용 증진
3. 각 기숙사별로 차별화된 특징적 기능 추가
프로젝트 진행 부분
1. 중복 코드와 명확하지 않은 로직을 모듈화하여 코드 품질 향상
2. 충돌 최소화를 위해 각 팀원이 포크한 리포지토리에서 작업 후 병합 요청
3. 정기적인 팀 미팅과 코드 리뷰를 통해 커뮤니케이션 및 코드 품질 개선
위 내용은 제출용으로 팀과 결과물 기준으로 작성된 내용이기에 개인적으로 적어본다
Keep
- 맡은 바에 있어서 일단은 스스로 먼저 해보려고 노력한 점
- 노력하다 안 되면 이미 만들어진 코드를 참고하였는데, 그냥 베끼는 것이 아니라, 분석을 하려고 노력한 점
(이 포스팅에서 예시를 확인할 수 있다 https://mongroy.tistory.com/11 ) - 콘셉트가 확실한 덕에 할 수 있는 게 많아 아이디어가 끊이지 않은 부분
Problem
- 의견이나 아이디어 50%정도만 발언한 점
- 혼자서 해결하는 데에 시간을 많이 할애함
- 기능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상태
- 홈버튼에 치중하느라 탑버튼 설치를 생각하지 못했음
Try
- 말을 더 적극적으로 뱉는 용기를 갖도록 노력하자
머릿속으로는 생각하는 게 있으나 아직 초보인 입장이라 상대방의 의견이 더 중요하다고 여겨 주저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 말만 기분 나쁘게 하지 않는다면 걸러야 하는 내용인지 아닌지에 대해서는 상대가 판단할 수 있을 것이고, 말을 해 봐야 스스로도 더 입체적으로 필요와 불필요를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 협동에서는 대화능력이 많이 필요하므로 말을 꺼내보는 게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 / 겁내지 말고 치고 들어가자 - 스스로 연구해보는 시간에 제한을 걸어두자
난이도는 접하자마자 알 수 없기 때문에, 진행하는 과정을 부분으로 나눠 실행하면서 일정시간을 분배해야겠다 - 이해도 부족개선하기 : 데이터 베이스, 태그나 요소, 매소드 등에 대한 학습을 하자
아는 게 있어야 꺼내서 사용할 수 있다 - 아래로 길어지는 페이지를 만들 때는 탑버튼을 달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