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객체지향 언어
- diary
- 인스턴스
- 감사기록
- #스파르타내일배움캠프
- 포맷은 최후의 보루
- 내일배움캠프
- Java
- 생성자
- Diary 해우소
- #내일배움캠프
- 클래스
- Java의 이점
- 해우소
- static
- 변수의 다양성
- Git
- TiL_1st_0419
- JVM
- KPT
- 메서드
- 스파르타내일배움캠프
- GitHub
- Token
- 회고록
- 스레드
- 스파르타내일배움캠프TIL
- 성장기록
- Github_token
- #스파르타내일배움캠프TIL
Archives
- Today
- Total
몬그로이
브라우저의 작동 방식 / 세션과 토큰 차이 본문
브라우저의 주요 기능은
사용자가 자원을 서버에 요청한 자원을 브라우저에 표시하는 것
1. HTML 로 부터 DOM 트리를, CSS로부터 CSSOM 트리를 빌드한다
2. DOM 및 CSSOM을 결합하여 렌더 트리를 형성한다
3. 렌더 트리에서 레이아웃을 실행하여 각 노드의 기하학적 형태를 계산한다
4. 개별 노드를 화면에 페인트한다
브라우저 동작 원리 & 구조
: 웹 서버에서 양방향으로 통신을 하며 HTML 문서, 멀티미디어 등의 컨텐츠를 열람할 수 있게 해주는 GUI 기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브라우저는 페이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응용 계층의 HTTP 프
velog.io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1338/
프론트엔드 개발자라면 알고 있어야 할 브라우저의 동작 과정 | 요즘IT
프론트엔드 개발자에게 있어 브라우저는 거의 모든 것과도 같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브라우저의 모든 원리에 대해 잘 알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복잡한 웹 어플리
yozm.wishket.com
Session(세션)과 Token(토큰)의 차이는?
우선 HTTP의 프로토콜 상태에 알아보자. HTTP 는 stateless 한 특성 때문에 각 통신의 상태는 저장되지 않는다. 하지만 서비스에서는 어떤 유저가 기능을 사용하는지 특정할 수 있어야하는데 이를 위
velog.io
'Organizing Do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RDBMS 의 정규화 (0) | 2024.07.18 |
---|---|
NoSQL, RDBMS (0) | 2024.07.18 |
MVP 패턴 (0) | 2024.07.17 |
자바의 정석 7. 객체지향 프로그래밍2 (0) | 2024.07.01 |
H2 (0) | 2024.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