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감사기록
- 회고록
- 스레드
- #스파르타내일배움캠프
- Github_token
- diary
- static
- 스파르타내일배움캠프
- 메서드
- KPT
- Diary 해우소
- TiL_1st_0419
- 인스턴스
- #스파르타내일배움캠프TIL
- 스파르타내일배움캠프TIL
- 포맷은 최후의 보루
- 내일배움캠프
- JVM
- Java
- 성장기록
- #내일배움캠프
- Git
- Java의 이점
- Token
- 객체지향 언어
- 생성자
- 해우소
- 변수의 다양성
- 클래스
- GitHub
- Today
- Total
목록Dev 언어 정리 & Self QnA (15)
몬그로이
답부터 말하자면'아니다' LinkedList 클래스는 Java에서 두 가지 인터페이스인 Queue와 List를 모두 구현했다Java에서는 인터페이스의 다중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LinkedList 클래스는 Qeue의 선입선출(FIFO) 동작을 지원하는 Queue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면서도데이터의 순서를 유지하는 List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따라서 LinkedList는 Queue와 List의 모든 동작을 수행하며Queue와 List의 모든 메서드를 구현한다이러한 다중 구현은 유연성을 제공하며상황에 따라 LinkedList를 Queue 또는 List의 생성자로 사용될 수 있다 ArrayListList와 RandomAccess 인터페이스List는 순서가 있는 데이터의 집합을 나타..
한 인터페이스의 바탕 아래 각각의 특징을 가진 클래스들이 있다한 클래스의 속성을 가진채 이름을 지어주면 그것이 인스턴스이며클래스의 속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클래스에 속한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다 걷는 것이 가능한 인터페이스가 있다고 하자운동화를 신겨서 A타입을 만들고구두를 신겨서 B타입을 만들었다두 타입은 신은 신발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기능적으로 차이가 있다이렇게 구별되는 것이 클래스이며 두 클래스 모두 걷는 것이 가능하다 A타입을 선택하여 운동화를 붉게 물들이고또 A타입을 선택하여 운동화를 파랗게 물들였다이렇게 되면 두 경우는 서로 다른 존재라고 할 수 있다그래서 붉은 운동화, 파란 운동화 라고 이름을 붙여줄 수 있다이렇게 같은 기능의 다른 존재들이 인스턴스들이다하지만 두..
ArrayList는 List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 중 하나다 이 말은, ArrayList는 List에서 정의된 메서드를 모두 포괄하고 있다는 것이다 더보기 LinkedList, Vector 등도 List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것이다 ArrayList는 List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되 추가적인 자료구조를 갖는다 이것이 특정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들이 갖는 특징이다 더보기 자바에서 인터페이스는 일종의 계약(contract)으로, 해당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클래스는 인터페이스에서 정의된 모든 메서드를 제공해야 한다 인터페이스를 구현함으로써 클래스는 해당 인터페이스에서 정의된 동작을 실제로 구현하고, 해당 동작을 외부에서 호출할 수 있게 된다 다양한 프레임워크 중 컬렉션 프레임워..
컴퓨터에 말을 걸기 위한 언어 Java 사람이 작성을 하면 Java 소스코드로 입력하게 되는데 (확장자: .Java) 컴퓨터는 이를 바로 읽을 수 없어 컴파일러라는 것이 번역을 해줘야 한다 더보기 .Java 파일은 일반적으로 텍스트 형식으로 작성되며, Java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는 사람이 읽고 이해할 수 있는 형태이 컴파일러를 총 두 번 거치게 되는데, 처음 컴파일러는 .Java를 바이트코드로 번역하여 확장자가 .Class인 클래스 파일에 저장한다 이 때의 바이트 코드를 중간언어라고 부른다 후에 이 중간언어를 마저 번역해주는 두 번째 컴파일러를 거치게 된다 더보기 첫번째 컴파일러를 통해 바이트코드로 변환될 때, 모든 소스코드가 바이트코드로 변환되는 것이 아니므로 두 번째 컴파일러가 필요하다 바이트코드로..
정수형 변수는 네 가지가 있다 byte, short, int, long 각각 1byte, 2byte, 4byte, 8byte 의 메모리 공간을 사용한다 *1byte = 8bit 실수형 변수는 두 가지가 있으며 두 가지 모두 long보다 큰 범위의 숫자를 저장할 수 있다 float, double 각각 4byte, 8byte의 메모리 공간을 사용한다 특이한 점은 float는 long보다 적은 공간을 사용하는데도 불구하고 더 큰 범위의 수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다 부호(1bit), 지수(8~11bit), 가수(23~52bit) 세 부분으로 나눠 나타낸 후 곱한 값을 표기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굳이 변수 종류가 이렇게 여러가지인 이유는 무엇일까? 데이터 크기나 범위에 따라 적절한 사이즈의 변수를 ..
Java는 객체지향 프로그램 언어라고 한다 그럼 객체란 무엇일까? 우리 주변에는 수 많은 물건들이 있고 하나하나를 모두 객체라고 할 수 있다 심지어 사람들 한 명 한 명도 객체로 볼 수 있으며 더 세분하여 보면 머리, 몸통, 다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객체지향이라는 말은 하나의 이름을 가진 한 객체로 본다는 것이라고 보면되는데, 책 한 권을 예로 들어 보겠다 책 한 권은 객체이다 각 책마다 출판사, 제작날짜, 종이재질 등의 특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그 책을 분리해보면 커버와 속지로 나눌 수 있다 나눈 순간부터 커버도, 속지도 각 객체로 볼 수 있다 커버는 재질이나 두께 등의 특징이 있으며 속지 또한 이루어진 장수, 구성된 종이의 사이즈 등을 특징으로 갖기 때문이다 속지를 더 세분화 해 보면 챕터별로 묶거..
HTML 웹 문서를 기술하기 위한 마크업 언어 (Hyper Text Markup Language) 더보기 마크업 언어는 태그등을 이용하여 문서나 데이터의 구조를 명기하는 언어의 한 가지이다. 태그는 원래 텍스트와는 별도로 원고의 교정부호와 주석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용도가 점차 확장되어 문서의 구조를 표현하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태그 방법의 체계를 마크업 언어라 한다. DOCTYPE 선언 DOCTYPE란 Document Type Declaration의 약자로 HTML의 첫줄에 위치하며 HTML문서의 유형을 정의하기 위해 필요한 선언이다. 이 유형 정의 선언이 왜 필요할까? 1st. 웹 브라우저에게 HTML문서 구조 해석 방법을 정의해주어야 웹 브라우저가 올바르게 문서를 해석하고 렌더링할 수..